밝은 미래로 가자!
  • Blog
  • Profile
  • Images
  • Guestbook
  • Check My External IP
  • Chansol website

2013년 01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ICT, 컴퓨터/보안 (Security) 2013. 1. 9. 11:55
[Tip: 이전글: "A", 다음글 "S", 로그인 "Q"]


안녕하세요.
milaero입니다.

2013년 01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내용입니다.

보안 업데이트 관련 자료의 출처는 여기(클릭)입니다.


감사합니다.


[MS13-001] Windows 인쇄 스풀러 구성 요소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영향

  •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설명

  • 인쇄 서버가 특수하게 조작된 인쇄 요청을 받을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 관련취약점 :

      - Windows 인쇄 스풀러 구성 요소 취약점(CVE-2013-0011)

  • 영향 : 원격코드 실행
  • 중요도 : 긴급

 

해당시스템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Windows 7 서비스 팩0, 1

      - Windows 7 64-bit 서비스 팩0, 1

      - Windows Server 2008 R2 64-bit 서비스 팩0, 1

      -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 1

  •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서비스 팩3
      - Windows XP Professional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Itanium 서비스 팩2
      - Windows Vista 서비스 팩2
      - Windows Vista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64-b Itanium 서비스 팩2
      - Windows 8
      - Windows 8 64-bit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해결책

  •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참조사이트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3-001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01

 

[MS13-002] Microsoft XML Core Services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영향

  •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설명

  • 사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 관련취약점 :

      - MSXML 정수 잘림 취약점(CVE-2013-0006)

      - MSXML XSLT 취약점(CVE-2013-0007)

  • 영향 : 원격코드 실행
  • 중요도 : 긴급

 

해당시스템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서비스 팩3
      - Windows XP Professional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Itanium 서비스 팩2
      - Windows Vista 서비스 팩2
      - Windows Vista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 Windows 7 서비스 팩0, 1
      - Windows 7 64-bit 서비스 팩0, 1
      - Windows Server 2008 R2 64-bit 서비스 팩0, 1
      -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 1
      - Windows 8
      - Windows 8 64-bit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 Microsoft Office 2003 서비스 팩 3
      - Microsoft Office 2007 서비스 팩 2, 3
      - Microsoft Word Viewer
      - Microsoft Office 호환 기능 팩 서비스 팩 2, 3
      - Microsoft Expression Web 서비스 팩 1
      - Microsoft Expression Web 2
      - Microsoft SharePoint Server 2007 서비스 팩 2, 3
      - Microsoft SharePoint Server 2007 64-bit 서비스 팩 2, 3
      - Microsoft Groove Server 2007 서비스 팩 2, 3

 

  •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서비스 팩 3의 Microsoft MSXML Core Services 3.0
      -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 2의 Microsoft MSXML Core Services 3.0
      - Windows Vista 서비스 팩 2의 Microsoft MSXML Core Services 3.0
      -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 2의 Microsoft MSXML Core Services 3.0
      - Windows 7의 Microsoft MSXML Core Services 3.0
      - Windows 7 서비스 팩 1의 Microsoft MSXML Core Services 3.0
      - Windows 8의 Microsoft MSXML Core Services 3.0
      - Windows RT의 Microsoft MSXML Core Services 3.0
      -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 2(Server Core 설치)
      - Microsoft Office 2010 서비스 팩 1
      - Microsoft Office 2010 64-bit 서비스 팩 1
      - Microsoft Office 2013
      - Microsoft Office 2013 RT
      - Microsoft SharePoint Server 2010 서비스 팩 1
      - Microsoft Groove 2007 서비스 팩 2
      - Microsoft Groove 2007 서비스 팩 3
      - Microsoft Groove Server 2010 서비스 팩 1
      - Microsoft Visio 2010 서비스 팩 1
      - Microsoft Visio 2010 64-bit 서비스 팩 1
      - Microsoft Visio Viewer 2010 서비스 팩 1
      - Microsoft Office Web Apps 2010 서비스 팩 1
      - Microsoft Expression Web 3
      - Microsoft Expression Web 4
      - Microsoft Excel Viewer
      - Microsoft Office 2008 for Mac
      - Microsoft Office for Mac 2011

 

해결책

  •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참조사이트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3-002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02

 

[MS13-003] System Center Operations Manager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영향

  •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상승

설명

  • 사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URL을 통해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권한 상승을 허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 관련취약점 :

      - System Center Operations Manager 웹 콘솔 XSS 취약점(CVE-2013-0009)

      - System Center Operations Manager 웹 콘솔 XSS 취약점(CVE-2013-0010)

  • 영향 : 권한 상승
  • 중요도 : 중요

 

해당시스템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Microsoft System Center Operations Manager 2007

      - Microsoft System Center Operations Manager 2007 R2

  •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Microsoft System Center 2012 Operations Manager

해결책

  •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참조사이트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3-003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03

 

[MS13-004] System Center Operations Manager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영향

  •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상승

설명

  • 사용자가 XAML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웹 브라우저에서 특수하게 조작된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권한 상승을 허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 관련취약점 :

      - System Drawing 정보 유출 취약점(CVE-2013-0001)

      - WinForms 버퍼 오버플로 취약점(CVE-2013-0002)

      - S.DS.P 버퍼 오버플로 취약점(CVE-2013-0003)

      - 이중 구성 취약점(CVE-2013-0004)

  • 영향 : 권한 상승
  • 중요도 : 중요

 

해당시스템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XP 서비스 팩3

    Microsoft .NET Framework 1.0 서비스 팩3

    Microsoft .NET Framework 1.1 서비스 팩1

    Microsoft .NET Framework 2.0 서비스 팩2

    Microsoft .NET Framework 4

    Windows XP Professional 64-bit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3 64-bit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Microsoft .NET Framework 1.1 서비스 팩1

    Microsoft .NET Framework 2.0 서비스 팩2

    Microsoft .NET Framework 4

    Windows Vista 서비스 팩 2

    Windows Vista 64-bit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8 64-bit 서비스 팩2

    Microsoft .NET Framework 1.1 서비스 팩1

    Microsoft .NET Framework 2.0 서비스 팩2

    Microsoft .NET Framework 4

    Microsoft .NET Framework 4.5

    Windows 7

    Windows 7 64-bit

    Windows Server 2008 R2 64-bit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 1

    Microsoft .NET Framework 3.5.1

    Microsoft .NET Framework 4

    Windows 7 서비스 팩 1

    Windows 7 64-bit 서비스 팩 1

    Windows Server 2008 R2 64-bit 서비스 팩1

    Microsoft .NET Framework 3.5.1

    Microsoft .NET Framework 4

    Microsoft .NET Framework 4.5

    Windows 8

    Windows 8 64-bit

    Windows Sever 2012

    Microsoft .NET Framework 3.5

    Microsoft .NET Framework 4.5

    Windows RT

    Microsoft .NET Framework 4.5

해결책

  •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참조사이트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3-004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04

 

[MS13-005]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영향

  •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상승

설명

  •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권한 상승을 허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 관련취약점 :

      - Win32k 부적절한 메시지 처리 취약점(CVE-2013-0008)

  • 영향 : 권한 상승
  • 중요도 : 중요


해당시스템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Windows Vista 서비스 팩2
     - Windows Vista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64-b Itanium 서비스 팩2
     - Windows 7 서비스 팩0, 1
     - Windows 7 64-bit 서비스 팩0, 1
     - Windows Server 2008 R2 64-bit 서비스 팩0, 1
     -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 1
     - Windows 8
     - Windows 8 64-bit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서비스 팩3

     - Windows XP Professional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Itanium 서비스 팩2

해결책

  •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참조사이트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3-005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05

 

[MS13-006] Microsoft Windows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보안기능 우회 상승 문제

 

영향

  •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상승

설명

  • 공격자가 암호화된 웹 트래픽 핸드셰이크를 가로챌 경우, 보안기능을 우회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 관련취약점 :

      - Microsoft SSL 버전 3 및 TLS 프로토콜 보안 기능 우회 취약점(CVE-2013-0013)

  • 영향 : 보안기능 우회
  • 중요도 : 중요

 

해당시스템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Windows Vista 서비스 팩2
      - Windows Vista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8 64-b Itanium 서비스 팩2
      - Windows 7 서비스 팩0, 1
      - Windows 7 64-bit 서비스 팩0, 1
      - Windows Server 2008 R2 64-bit 서비스 팩0, 1
      -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 1
      - Windows 8
      - Windows 8 64-bit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서비스 팩3
      - Windows XP Professional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Itanium 서비스 팩2


해결책

  •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참조사이트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3-006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06

 

[MS13-007] Open Data 프로토콜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


영향

  •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서비스 거부 유발

설명

  •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HTTP 요청을 영향받는 사이트에 전송할 경우, 서비스 거부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 관련취약점 :

      - 교체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3-0005)

  • 영향 : 권한 상승
  • 중요도 : 중요

해당시스템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XP 서비스 팩3

Windows XP Professional 64-bit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3 64-bit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Windows Vista 서비스 팩 2

Windows Vista 64-bit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8 64-bit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Microsoft .NET Framework 3.5 서비스 팩1

Microsoft .NET Framework 4

Windows 7

Windows 7 64-bit

Windows Server 2008 R2 64-bit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 1

Microsoft .NET Framework 3.5.1

Microsoft .NET Framework 4

Windows 7 서비스 팩 1

Windows 7 64-bit 서비스 팩 1

Windows Server 2008 R2 64-bit 서비스 팩1

Microsoft .NET Framework 3.5.1

Microsoft .NET Framework 4

Microsoft .NET Framework 4.5

Windows 8

Windows 8 64-bit

Microsoft .NET Framework 3.5

Windows Sever 2012

Microsoft .NET Framework 3.5

관리 OData IIS 확장

 

  •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Microsoft .NET Framework 1.0 서비스 팩 3
      - Microsoft .NET Framework 1.1 서비스 팩 1
      - Microsoft .NET Framework 2.0 서비스 팩 2
      - Microsoft .NET Framework 3.0 서비스 팩 2
      - Microsoft .NET Framework 4.5
      - Windows RT

 

해결책

  •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참조사이트

  • 영문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ecurity/bulletin/MS13-007
  • 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07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ICT, 컴퓨터 > 보안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3월 Microsoft 정기 보안업데이트 안내  (0) 2013.03.13
2013년 01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0) 2013.01.09
2012년 10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1) 2012.10.10
2012년 9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0) 2012.09.12
2012년 8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4) 2012.08.15
2012년 7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0) 2012.07.11

안내

Chansol Blog의 게시물은 수정 및 재배포, 스크랩 또는 영리적 이용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필요 시 댓글 부탁합니다.

milaero는 도배, 광고, 악의적인 댓글을 싫어합니다. :(

이 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을! :D

Back to top

Posted by milaero
TAG it, Microsoft, Security, Windows, 보안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트랙백 주소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 61 다음

블로그 이미지

Welcome to Blog of Chansol! (舊 밝은 미래로 가자! / formerly Let's go to bright future!)

by milaero

  • 관리자
  • 글쓰기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1)
공지 (4)
이벤트 (Event) (0)
일상 (Life story) (0)
후기&리뷰 (Review) (3)
사진, 그림 (Photo) (1)
유머 (Humorous) (2)
고찰 (Thought) (1)
ICT, 컴퓨터 (35)
ICT 소식(ICT News) (3)
팁 (Tips) (1)
보안 (Security) (13)
웹, 인터넷 (Web,.. (0)
네트워크, 통신 (N.. (0)
스마트기기, 사물.. (14)
프로그램 설명 및.. (1)
프로그래밍 설계 (.. (0)
프로그래밍 언어 (.. (0)
컴퓨터 그래픽 (CG) (0)
Macintosh OS (2)
Linux (1)
Windows (0)
개편 전 글 (14)
newHiDo관리 (0)
oldHiDo관리 (0)
스크랩, 메모 (0)

최근에 올라온 글

  • [마감] 2015년 하⋯. (52)
  • root 계정 ssh 로⋯.
  • LC_CTYPE locale⋯.
  • Mac용 VirtualBox⋯.
  • 블로그 개편을 준⋯.

최근에 달린 댓글

  • 지금 다운 되나요?. 혜연 2018
  • 요즘 사이트도 업⋯. mins 2016
  • 언제 되요????ㅠㅠ. 훈 2016
  • 네, 아직 다운로드⋯. milaero 2015
  • 다운 안되나요??. lll 2015

최근에 받은 트랙백

  • 중앙일보 해킹으로 인한 홈... 울지않는벌새 : Security,.. 2012
  • 새로이 개편된 티스토리 관... 세의의 異 세계 2011

링크

  • All About Anti-Virus.
  • 울지않는벌새 : Securit⋯.
  • 세상, 그 유쾌한 전장.
  • 바이러스 없는 세상 (JK⋯.
  • 쿨캣의 블로그 놀이.
  • 바이쭌님 블로그..
  • 문스랩닷컴 블로그.
  • 처리의 블로그.
  • 콴's 블로그 ~.
  • 세의의 異 세계.
  • secufocus.
  • Dipped, Malware, in th⋯.
  • 바이러스 제로 시즌 2 (⋯.
  • 쿠들릭의 지식바구니.
  • 꿈을꾸는 파랑새.
  • 인터넷과 보안.
  • Bradly1의 일기장.
  • Right Security Blog.
  • SecurityFactory.
  •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 Apple Event Live.
  • Back to the Mac.
  • Hood Rabbit의 맥(Mac)⋯.
  • Wildfree 의 IT 이야기.
  • 윈컴이의 컴퓨터 이야기.
  • 해커 C 이야기.
  • 젠틀캣의 블로그 이야기~.
Total
181,119
Today
0
Yesterday
3

free counters


Copyright © 2009-2019 milaero. All Rights Reserved